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RPL

}}} ||


역대 KRPL 일람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SINGLE CHAMPION
RUNMINGIRUNMINGISSEAL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TEAM CHAMPION
파일:NTC_icon.png NTC CREATORS파일:NTC_icon.png NTC CREATORS파일:Team_GP_logo.png Team GP

파일:KRPL2solochampion.png
파일:KRPL2teamchampion2.jpg

파일:KRPL_2021S2.png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대회 기간2021년 10월 16일 ~ 12월 11일
주최파일:넥슨 로고.svg
주관파일:VSPN_korea.png
경기장V.SPACE
스폰서파일:신한은행_헤이영_로고.jpg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온라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성승헌[토], 최시은[목]
해설자정준, 김대겸
아나운서허수희
[1] 카러플 이스포츠 계정[2] 카러플계정[토] [목]
일정
[ 펼치기 · 접기 ]
팀전
8강 풀리그10월 16일 ~ 11월 25일
포스트 시즌11월 27일 ~ 12월 11일
개인전
32강10월 16일 ~ 11월 13일
16강11월 25일 ~ 12월 9일
결승전
개인전 / 팀전12월 11일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팀전개인전
NTC CREATORSRUNMINGI
준우승팀전개인전
LVUPGGJJONG

1. 개요
3. 상금
4. 경기 일정
5. 온라인 예선
7. 참가 선수
7.1. 팀전
7.2. 개인전
8. 경기 진행
9. 결과
9.1. 팀전
9.2. 개인전
10.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10.1. 팀전
10.2. 개인전
11. 논란 및 사건사고
11.1. 코코몽 라이더스 창단 무산 및 갑질 사건
11.2. 잇따른 기권 논란
11.3. Harass 팀 실격 논란
11.4. 결승전 트위치 이슈
12. 여담



1. 개요[편집]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두번째 정규리그.


2. 시즌 전 스토브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상금[편집]


총 상금
₩ 200,000,000
결과개인전팀전
우승₩ 20,000,000₩ 100,000,000
준우승₩ 10,000,000₩ 30,000,000
3위₩ 2,000,000₩ 15,000,000
4위₩ 1,000,000₩ 8,000,000
5위₩ 1,000,000₩ 4,000,000
6 ~ 8위₩ 2,000,000


4. 경기 일정[편집]


날짜팀전개인전
10월 16일 (토)8강 풀리그 1 ~ 3경기32강 A조
10월 21일 (목)8강 풀리그 4 ~ 6경기
10월 23일 (토)8강 풀리그 7, 8경기32강 B조
10월 28일 (목)8강 풀리그 9 ~ 11경기
10월 30일 (토)8강 풀리그 12, 13경기32강 C조
11월 04일 (목)8강 풀리그 14 ~ 16경기
11월 06일 (토)8강 풀리그 17, 18경기32강 D조
11월 11일 (목)8강 풀리그 19 ~ 21경기
11월 13일 (토)8강 풀리그 22, 23경기32강 패자부활전
11월 18일 (목)8강 풀리그 24 ~ 26경기
참가팀 관계자의 확진 판정으로 인해 감염 예방과 역학 조사를 위하여
11월 19일(금)부터 V. SPACE의 모든 리그 일시 중단
[1]
11월 25일 (목)8강 풀리그 27, 28경기16강 1경기
11월 27일 (토)와일드카드전
(SGA vs RST)
16강 2경기
12월 02일 (목)준플레이오프
(GP vs SGA)
16강 승자전
12월 04일 (토)결승 진출전
(NTC vs LVU)
16강 패자전
12월 09일 (목)플레이오프
(LVU vs SGA)
16강 최종전
12월 11일 (토)결승전
(NTC vs LVU)
결승전


5. 온라인 예선[편집]


예선전 참가팀
[ 펼치기 · 접기 ]

ATRRST_DUNGTAKAXT丶Wolf문이네민박몬구좌NULL
FST개갱나무w혁지닝ww쌍쌍바ww지녕이w븹경흠
HRSHRS_JeongwooHRS_AuraHRS_ThorNHRS_LINE[1]HRS_ADDY
MIR선정권찌르기[2]AsT丶삐닙[3]개윤하ㅣFLㅣ_클라따_[4]
NBD[5]NBD_LongHyunNBD_MINSEO[6]깡민구NBD_SungHyuk[7]NBD_YunCheol
RMPRMP_RABBITRMP_LIMERMP_BONGSWERMP_KYUNGS00[8]RMP_PlasTic
R S P승수니몬스터사탄KRS丶레니프로노시스키드디쬬펫
RSTRST_LEEJIMIN[9]RST_BUZZ[10]RST_DOWOOKRST_BONERST_HWAN
TMP[11]TMP_WINKLE[12]TMP_ONHYUCKTMP_SORYEONGTMP_EJONGE[13]TMP_JISU[14]
UNDUND_HellDongUND_ParangPUND_VCENZOUND_HYUNNUND_SSANO
[1] 갑작스런 팀 탈퇴로 예선 불참, 하레스는 4인 체제로 진행[2] KRPL 시즌 1 팀전 SWIFT 소속, KRPL 시즌 1 개인전 본선[3] KRPL 시즌 1 개인전 본선[4] KRPL 시즌 1 팀전 SWIFT 소속[5] KRPL 시즌 1 팀전 Anything[6] KRPL 시즌 1 팀전 On And On 소속[7] KRPL 시즌 1 개인전 본선[8] KRPL 시즌 1 팀전 On And On 소속[9] KRPL 시즌 1 팀전 On And On 소속[10] KRPL 시즌 1 개인전 본선[11] TUBEPLE Tempest[12] KRPL 시즌 1 팀전 SGA 인천 소속[13] KRPL 시즌 1 팀전 BARREL 소속[14] KRPL 시즌 1 팀전 SWIFT 소속

예선전 참가명단
[ 펼치기 · 접기 ]
_DangNi__Roxy__램공__성수룽_
5252。HAONAsT丶LoduAsT丶삐닙AXT丶Wolf
Ȼ무적우진ȻET丶HominGalaxyG-바겐
KRN_예다KRN_호야NBD_LongHyunNBD_MINSEO
NBD_SungHyukNTC丶Dong-INTC丶HelleNNTC한종문
oioi丶재미닝RMP_BONGSWERMP_LIMERMP_PlasTic
RnG근현RP_run모니터RST_BONERST_BUZZ
RST_DUNGTAKRST_LEEJIMINSGA_ABSOLSKD丶견우
Ssap다시마TBP_GAORITBP_RUNPILMOTBP_SSEAL
TMP_ONHYUCKTMP_SORYEONGTMP_WINKLEUND_HellDong
UND_HYUNNUND_ParangPWakku_ZWaveKOSMOS
Ϟ20_MeinSTϞℵThorNℵℵ정우ℵ개갱나무
개빡친최라이개윤하고다마9국가대표꿈
그루밍깡민구납브나난런앤고런누찡
무소속뿌찌별미볼륨리스펙선정권찌르기
어텐드Magic은하수뜰꾸은하수핑꾸이동훈²
정용진퀄리티박혜원핸드폰ㅣ퍄노곤듀ㅣ


6. 규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규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참가 선수[편집]



7.1. 팀전[편집]


파일:KRPLS2_NTC.png
파일:NTC_icon.pngNTC CREATORS
SWEEPERITEM ACESPEED ACE 파일:crwn.pngRUNNERRUNNER
최준영
HELLEN
이승연
JERRY
신동이
DONGI
김홍승
JAMES
한종문
JJONG

디펜딩 챔피언으로 현재 출전하고 있는 팀 중에서 유일하게 로스터를 그대로 유지한 팀이기도 하다. 팀 멤버 개개인의 스피드전 기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만큼, 이번 리그에서도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다.



파일:KRPLS2_SGA.png
파일:SGA Inchon.pngSGA 인천
SPEED ACESWEEPERMIDDLE 파일:crwn.pngITEM ACERUNNER
여인정
DANGNI
김성수
SEONGSU
김강현
ABSOL
곽도윤
ZERO
이진건
VEGA

지난 시즌의 멤버 중 WINKLE이 퇴단하였고, SINHO는 학업 문제로 인해 SGA 인천 소속으로만 되어 있고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는다. 그 빈 자리를 온라인 고수 SEONGSU와 지난 시즌 Optimal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 DANGNI가 메우게 되었다. GP과 함께 NTC와 LVUPGG를 위협할 수 있는 팀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파일:KRPLS2_TeamGP.png
파일:Team_GP_logo.pngTeam GP
MIDDLESPEED ACESWEEPER 파일:crwn.pngRUNNERITEM ACE
성시우
GAORI
정다인
DAIN
박지수
GONGBACK
권민준
SSEAL
서정민
JEONGMIN

지난 시즌 BARREL 팀을 주축으로 짜여진 팀이며, 온라인 고수인 DAIN과 지난 시즌 개인전 결승 리거였던 SSEAL을 추가로 영입하면서 창단되었다. 특이점으로 RUNPILMO가 플레잉 코치이며, RUNPILMO는 개인전만 출전한다. SGA와 함께 NTC와 LVUPGG를 위협할 수 있는 팀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시즌 도중에 Team GP에 인수되었다.



파일:KRPLS2 LVUPGG.png
파일:LVUP 로고.svgLVUPGG
RUNNERHYBRIDSPEED ACE 파일:crwn.pngRUNNER
박상원
RAMGONG
박효준
ROXY
민기
RUNMINGI
최림
LIMIT

지난 시즌의 Optimal 팀을 주축으로 창단된 팀으로 코코몽 라이더스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보다가 우여곡절 끝에 프로팀 계약을 맺었다. 멤버 중 ZIZON, DANGNI가 팀을 떠나고 지난 시즌 개인전 결승 옐로 라이더였던 LIMIT을 영입하면서 빈 자리를 메우게 되었다. 지난 시즌 돌풍의 중심이었던 LIMIT의 합류로 인해 우승에도 도전할 수 있는 팀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파일:KRPLS2_Tempest.png
파일:TUBEPLE Tempest.pngTEMPEST
HYBRIDMIDDLERUNNER 파일:crwn.pngITEM ACESPEED ACE
지형식
EJONG
유온혁
ONHYUCK
이민우
WINKLE
김지수
JISU
[2]
황희준
SORYEONG

SGA에서 본인이 중심인 팀을 만들고 싶다고 나간 WINKLE을 중심으로 뭉쳤다. Not Bad와 함께 와일드카드전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시즌 도중 모종의 일로 첫 경기만 끝내고 EJONG이 더 이상 참가하지 않게 되면서 4인만 경기에 참여하게 되는 악재를 겪게 되었다. 튜브플 게이밍에서 지원을 받았으나 튜브플이 카트판에 손을 떼면서 이후에는 그냥 아마추어팀이 된 것으로 보인다.



파일:KRPLS2_NBD.png
파일:Notbad.pngNot Bad
HYBRIDITEM ACESPEED ACERUNNERSWEEPER 파일:crwn.png
김민서
MINSEO
구윤철
YUNCHEOL
강성혁
SUNGHYUK
배강민
GANGMIN
차동현
LONGHYUN

전 시즌의 Anything 선수들이 주축이 된 팀. 예선전에서 전 경기 퍼펙트로 승리하고 올라왔으며 TEMPEST와 함께 와일드카드전 경쟁을 할 수 있는 팀으로 꼽힌다.



파일:KRPLS2_Reset.png
파일:Reset.pngReset
ITEM ACESPEED ACESWEEPER 파일:crwn.pngMIDDLERUNNER
최규환
HWAN
우현수
BUZZ
이지민
LEEJIMIN
김도욱
DOWOOK
최준영
BONE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면서 7번째[3]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두경기를 치른 후 아이템 에이스 HWAN이 기권하면서 강제로 4인팀으로 변경하는 악재를 겪게 되었다.



파일:KRPLS2_Harass.png
파일:Harass.pngHarass
RUNNERITEM ACESPEED ACE 파일:crwn.pngMIDDLE
오한빈
AURA
노동원
ADDY
박정우
JEONGWOO
이헌재
THORN

어썰트 멤버들이 모인 팀으로 예선 직전 스피드 에이스의 이탈 때문에 강제로 4인팀 출전이라는 악재가 닥치게 되었다. 이렇게 팀 전력이 크게 마이너스가 되면서 예선에서도 조 3위를 기록하면서 패자전까지 굴러떨어졌으나 여기서 본선 한 자리가 유력해보였던 JGWON이 이끄는 Miracle 팀을 꺾고 벼랑 끝에서 올라 본선 마지막 자리를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4] 하지만, 9회차 경기 종료 이후 박정우의 '리그 관련 금지 행위' 규정 위반으로 인해 Harass팀과 박정우 모두 리그 실격 처리가 되었다.[5]

7.2. 개인전[편집]


A조최림
LIMIT
김강현
ABSOL
권민준
SSEAL
김우현
DASIMA
김태훈
PARANGP
김민서
MINSEO
강성혁
SUNGHYUK
유온혁
ONHYUCK
최고 성적3위12위8위첫 출전첫 출전첫 출전17위첫 출전

B조김홍승
JAMES
신동이
DONGI
송준호
JGWON
박효준
ROXY
여인정
DANGNI
김성희
NABBEU
김요셉
KOSMOS
박상원
RAMGONG
최고 성적준우승9위13위21위14위첫 출전첫 출전5위

C조민기
RUNMINGI
황희준
SORYEONG
최준영
HELLEN
박헌렬
LODU[6]
차동현
LONGHYUN
이지민
LEEJIMIN
이민우
WINKLE
위찬빈
BBINIB
최고 성적첫 출전4위첫 출전첫 출전첫 출전11위22위

D조김성수
SEONGSU
정용진
RAIJIN
배강민
GANGMIN
한종문
JJONG
성시우
GAORI
정필모
RUNPILMO
최준영
BONE
박정우
JEONGWOO
최고 성적첫 출전24위첫 출전6위7위15위첫 출전첫 출전


8. 경기 진행[편집]





9. 결과[편집]



9.1. 팀전[편집]


팀전 순위
최종
순위
풀리그
순위
세트
득실
트랙
득실
상금비고
우승1위파일:NTC_icon white border.png NTC CREATORS901740₩ 100,000,000결승전 승리[2연속]
준우승2위파일:LVUP 로고.svg LVUPGG73616₩ 30,000,000결승전 패배
3위4위파일:SGA Inchon.png SGA 인천5501₩ 15,000,000플레이오프 패배
4위3위파일:Team_GP_logo 하얀 테두리.png Team GP53412₩ 8,000,000준플레이오프 패배
5위5위파일:Reset.png Reset35-5-17₩ 4,000,000와일드카드전 패배
6위파일:TUBEPLE Tempest.png TEMPEST25-4-4₩ 2,000,000
7위파일:Notbad.png Not Bad25-4-6₩ 2,000,000
8위파일:Harass.png Harass07-14-42-실격
파란색: 결승 진출전 진출 | 초록색: 준플레이오프 진출 | 연두색: 와일드카드 진출 | 빨간색: 탈락

9.2. 개인전[편집]


개인전 순위
순위선수평균 점수결과상금 및 비고
우승RUNMINGI5.67점결승전 SET 2 승자₩ 20,000,000
준우승JJONG5.61점결승전 SET 2 패자₩ 10,000,000
3위DONGI4.20점결승전 SET 1 3위₩ 2,000,000
4위RAMGONG4.16점결승전 SET 1 4위₩ 1,000,000
5위JAMES3.90점결승전 SET 1 5위₩ 1,000,000
6위LIMIT4.94점결승전 SET 1 6위₩ 1,000,000
7위SSEAL5.00점결승전 SET 1 7위₩ 1,000,000
8위GAORI3.52점결승전 SET 1 8위₩ 1,000,000
9위ABSOL3.63점16강 최종전 5위
10위HELLEN4.21점16강 최종전 6위
11위DANGNI3.82점16강 최종전 7위
12위SEONGSU3.39점16강 최종전 8위
13위RUNPILMO3.04점16강 패자전 5위
14위SORYEONG2.75점16강 패자전 6위
15위JGWON3.03점16강 패자전 7위
16위SUNGHYUK2.14점16강 패자전 8위
17위WINKLE2.93점32강 패자부활전 5위
18위DASIMA2.87점32강 패자부활전 6위
19위JEONGWOO2.44점32강 패자부활전 7위
20위LONGHYUN2.21점32강 패자부활전 8위
21위ROXY3.56점B조 6위
22위GANGMIN2.50점D조 6위
23위BBINIB2.33점C조 6위
24위LODU2.17점C조 7위
25위ONHYUCK2.00점A조 6위
26위MINSEO1.86점A조 7위
27위PARANGP1.86점A조 8위
28위BONE1.75점D조 7위
29위RAIJIN1.25점D조 8위
30위NABBEU0.44점B조 7위
31위LEEJIMIN0.33점C조 8위
32위KOSMOS-0.44점B조 8위
21 ~ 32위는 패자부활전 진출 결정전 패배 선수 → 평균 점수 순서대로 나열함.

10.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편집]



10.1. 팀전[편집]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해적 가파른 감시탑01:40:83결승전NTC CREATORSJJONG스타쉽 솔리드
[R] 포레스트 지그재그02:04:518강 14경기Team GPSSEAL멘티스
차이나 용의 운하02:02:218강 17경기TEMPESTONHYUCK파라곤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좌표01:32:83결승전NTC CREATORSJJONG스타쉽 솔리드
빌리지 익스트림 경기장01:37:228강 23경기LVUPGGRUNMINGI파라곤
빌리지 남산01:32:78준플레이오프SGA 인천VEGA멘티스
빌리지 붐힐터널01:08:248강 13경기HarassAura파라곤
월드 뉴욕 대질주01:23:718강 23경기LVUPGGLIMIT멘티스
월드 파리 에펠탑 다이브01:58:06플레이오프LVUPGGLIMIT스타쉽 솔리드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01:44:318강 20경기NTC CREATORSJAMES멘티스
비치 해변 드라이브01:49:98준플레이오프Team GPSSEAL스타쉽 솔리드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01:55:698강 18경기NTC CREATORSJJONG저스티스 바이크
빌리지 만리장성01:40:24플레이오프LVUPGGLIMIT스타쉽 솔리드
WKC 브라질 서킷01:45:62준플레이오프SGA 인천DANGNI스타쉽 솔리드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01:48:28결승전NTC CREATORSJJONG스타쉽 솔리드

10.2. 개인전[편집]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R] 포레스트 지그재그02:05:4016강 승자전SSEAL스타쉽 솔리드
해적 가파른 감시탑01:41:8216강 2경기JJONG멘티스
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01:01:3916강 2경기RUNMINGI멘티스
네모 장난감 선물공장01:09:91결승전RUNMINGI스타쉽 솔리드
네모 산타의 비밀공간01:35:1832강 C조HELLEN멘티스
아이스 갈라진 빙산01:32:6316강 2경기JJONG멘티스
빌리지 붐힐터널01:07:3016강 승자전LIMIT스타쉽 솔리드
월드 뉴욕 대질주01:24:10결승전RUNMINGI스타쉽 솔리드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01:10:9832강 C조HELLEN멘티스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01:44:2516강 패자전JAMES스타쉽 솔리드
비치 해변 드라이브01:50:9116강 2경기RUNMINGI멘티스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01:56:5216강 패자전DANGNI스타쉽 솔리드
빌리지 만리장성01:40:4816강 1경기SSEAL멘티스
WKC 브라질 서킷01:46:8016강 2경기JJONG멘티스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01:48:8032강 A조SSEAL멘티스

11.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 개막전 경기의 BGM이 WKC 테마의 BGM으로 고정되는 이슈가 있었으며,[7] 팀전 8강 1경기와 개인전 32강 A조에서는 네트워크 이슈가 2번 연속으로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1주차 경기 결과 게시물에 사과문이 추가로 게시되었다.

  • Not Bad의 YUNCHEOL 선수가 8강 27경기에 불참했다. 중계진은 훈련에 참가했다고 했는데 YUNCHEOL 선수는 학군단 후보생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학군단 관련 일정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학군단 훈련은 방학에 이뤄지며, 훈련 기간이 4주이기 때문에 만약 진짜로 훈련이었다면 Not Bad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더라도 참가하지 못하게 되는데, 중계진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 YUNCHEOL 선수가 출전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훈련은 아닌 다른 학군단 관련 일정이 있었던 것으로 예상된다.

  • 16강 1경기와 2경기의 선수 시드가 32강 평균 점수대로 배정되지 않았다.


11.1. 코코몽 라이더스 창단 무산 및 갑질 사건[편집]


카트리그 2020 시즌1 스토브리그에 있었던 사건인 프릭스 게이트와 상당히 유사한 사건이다. 특정 인물의 갑질, 그로인한 상당한 피해자, 팀을 못 구해 출전하지 못할 뻔했던 선수, 강제로 은퇴당한 선수가 존재하며, 이는 프릭스 게이트와 거의 비슷하다. 런민기신종민, 임재원처럼 팀을 못 구했다가 간신히 팀을 구했고, 강진우는 프릭스 게이트의 직접적인 피해자인 이중선처럼 리그에서 강제로 은퇴당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강진우는 프릭스 게이트가 터지고 이중선을 옹호했는데, 본인 역시 이중선처럼 은퇴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랜드그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2. 잇따른 기권 논란[편집]


KRPL 시즌1과 마찬가지로 또 다시 선수들이 기권하는 일이 발생했다. Tempest의 지형식(EJONG)과 Reset의 최규환(HWAN)이 본선경기를 치르고 바로 불참 선언을 하였다.

하지만 선수들의 속사정을 대강 알 가능성이 높은 고인물 시청자들은 지형식(EJONG)과 최규환(HWAN)에 대한 비판을 크게 하지는 않는다. EJONG의 경우 팀내 멤버 한 명과 법정싸움까지 갈 정도의 심한 분쟁이 있었고, HWAN은 한 멤버의 주도로 팀 연습에서 배제될 만큼 불화가 심했기 때문. 오히려 고인물들 사이에선 기권해도 어쩔 수 없다는 뉘앙스로 둘을 응원하며, 팀내 분란을 일으켜서 사단을 낸 다른 멤버에 대한 비판을 하는 여론이 더 많다.

이렇듯 선수들의 기본적인 팀원에 대한 배려나 프로 의식의 부재로 인한 잇따른 이탈 인원 발생은, 리그의 졸속 진행만이 중요한 것이 아닌, 이에 임하는 선수들의 자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사건이다.

해당 인원들은 실질적으로는 다른 팀원들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리그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는 피해자지만, 이러한 사유는 리그 규정 11.4 페널티 기준표에 의하면 부득이한 사유[8]에 포함되지 않아 다음 시즌 리그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사건의 내막을 운영위원회 측에서 판단하고, 이들에 대한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리그에 도입하여 피해자들이 규정의 페널티를 받지 않고,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일 것이나 사건으로 인해 전치 4주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이는 요원해 보인다. 다만, EJONG의 이름은 8강 풀리그 막바지에도 여전히 팀원 소개 시 등장하고 팀 공식 사진에서 빠지지도 않은 것으로 보아 해당 팀 관리자 선에서 선수를 기권 처리하지 않고 5명 엔트리에서 4명만 경기에 나오는 것으로 정리하여 기권으로 인한 불이익을 피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소개 영상에 실격 처리당한 Harass는 지속적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소개나 영상에 대한 명확한 기준 자체가 리그에도 없는것으로 보인다.


11.3. Harass 팀 실격 논란[편집]


팀전 선수들의 기권에 이어 팀전 팀 1개의 실격 처리로 7개 팀이 8강 풀리그를 진행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Harass팀의 Jeongwoo가 9회차 개인전 경기 중 본 규정 '9.3 경기장 금지 행위'의 9.3.1 '손괴 행위 금지'에 해당하는 행위로 실격되었고, [9] 이에 ’11.2 페널티 구분’의 ‘리그 실격’에 의거 선수 실격에 따라 로스터가 4인 미만인 Harass 팀이 실격되었다.

리그의 경기력 수준이 프로팀과 비프로팀으로 극명히 나뉘어 리그 시청에 대한 몰입도가 현저히 떨어진 상황에서,[10] 리그의 운영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확보한 선수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주최 측에서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안그래도 리그 선수 풀이 좁은 KRPL에서 기권 및 실격 선수의 다수 발생은 해당 선수뿐만이 아닌, 리그를 개최하는 주최측의 관리 소홀 문제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기존 선수조차 빠져나가는 현재 리그 상황에선, 다음 시즌 리그의 정상적인 진행이 가능할지도 근본적인 의문이 든다.


11.4. 결승전 트위치 이슈[편집]


결승전 당일 공식 트위치 채널이 증발해 버리는 바람에 트위치에서 리그를 시청할 수 없었다. 하지만 결승전 경기가 끝난 이후, 다행히도 채널이 복구되어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12. 여담[편집]


  • 본선 진출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았고 JGWON 같이 꽤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선수가 소속된 Miracle이 팀전 예선을 뚫지 못하고 탈락하였다.
  • 시즌1에는 4인 체제인 팀이 1팀이었는데 시즌2에는 4인 체제인 팀이 4팀3팀[11]으로 늘어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7:16:16에 나무위키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RPL 시즌 1에도 이와 비슷한 상황으로 리그가 중단된 바가 있다.[2] A B 전승 우승[3] 예선 3위.[4] 즉 예선 4위로 최후로 본선 티켓을 거머쥔 것. 참고로 스피드 에이스 박정우는 개인전 예선도 전체 29위로 마지막 본선 티켓을 거머쥐면서 양대리그를 마지막으로 본선진출한 선수가 되었다.본선 진출자 중 1명이 참가하지 않게 되면서 박정우 밑으로 한 명(LODU)이 추가진출하긴 했다.[5] HRS_Jeongwoo 선수의 '리그 관련 금지행위' 규정 위반으로 인한 Harass팀과 Jeongwoo 선수 리그 실격 처리 -> 본 규정 '9.3 경기장 금지 행위'의 9.3.1 '손괴 행위 금지'에 해당하는 행위로 판단하여 리그 실격 처리 -> 본 규정 ’11.2 페널티 구분’의 ‘리그 실격’에 의거 선수 실격에 따라 로스터가 4인 미만인 Harass팀 실격 처리 -> 본 규정 ‘5.6 출전 불가 선수 및 팀 발생 시’의 5.6.1. 팀전 8강 풀리그 관련 규정에 의거, Harass 팀의 대진을 경기 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경기패 처리 [6] 예선 중계에서는 패자부활전 최종 2위로 탈락했으나 본선 명단에 들어있다. 아마 본선 진출자 중 한 명이 기권한 듯.[7] 이 당시 NCT와의 콜라보 이벤트로 인해 WKC 테마 및 월드 테마의 인게임 BGM이 Sticker로 바뀌었던 것에 따른 저작권 문제로 보인다.[8] 부득이한 사유의 기준은 당시 규정에 따로 나와 있지 않았으나 이후 11월 18일 규정 개정으로 로스터 변경 시 적용되는 "부득이한 사유"와 동일하다는 것이 명시되었다.[9] 한때 헤드셋을 부숴서로 추측되었으나, 자세한 내막을 알고 있는 갤러가 밝힌 이유는 대기실에서 벽을 부숴서라고 한다. 링크[10] 프로팀을 단 한번이라도 꺾은 아마추어팀은 한 팀도 없었지만, 24경기에서 Tempest가 SGA 인천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면서 사례가 생기게 되었다.어차피 sga는 포시가고 Tempest는 포시도 못갔다.[11] LVUPGG, Tempest, Not Bad, Harsss